육아

아기 트림시키는 방법

살랑살랑 배달합니다 2025. 5. 7. 15:53
반응형

아기 트림시키는 방법

 

생후 한달이 갓 넘은 아기를 키우고 있고, 모유 수유 중이다.
예전에 아기를 먹이고 나면 트림을 시켜야 하고, 1시간이 넘게 등을 두들겨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실제로 수유 후에 매번 트림을 시키고 있는데, 어떤 때는 금방 트림을 하고, 어떤 때는 한참을 등을 두드리고 문질러줘도 계속 배앓이를 해서.. 트림하는 방법을 찾아봤다.

 

 

1. 수유 후 트림을 시키는 이유

아기들은 아직 위가 (위장 위아래로 음식물이 위에 담아두도록 조여주는 근육이) 덜 발달되어서 공기를 들이마시면 쉽게 토한다.
아기가 젖(모유)이든 젖병(분유)이든 쪽쪽 빨아먹으면서 공기를 같이 먹게 되고,
수유 후 아기를 눕혀놓으면 위장에 있던 공기가 식도쪽으로 올라오면서 토하게 된다고 한다.

분유를 먹는 아기는 트림을 반드시 시켜야 한다고 한다.
모유를 먹는 아기도 자꾸 올리거나 수유 중 공기를 많이 먹은 경우는 트림을 시키는 것이 좋다.

 

 

2. 트림이란

트림은 아기가 맘마를 먹을 때 함께 삼킨 공기를 다시 밖으로 내보내는 것을 말한다.
아기를 세워서 음식물과 공기를 분리하고, 공기만 위로 올라오게 해야 한다.
세워서 트림을 시키지 않으면 공기와 음식물이 함께 나와 토하게 된다.

 

 

3. 아기 트림 시키는 방법

 

- 왼쪽 어깨에 거즈수건을 대고 아기의 입을 그쪽으로 오게 해서 세워 안은 다음, 등을 아래위로 쓰다듬거나 두드려주면 된다.

  (일반적인 방법)


- 아기를 다리 사이에 세워 앉히고, 목을 못가누는 신생아라면 턱이나 볼을 받쳐주고, 목을 가누는 아이라면 겨드랑이 사이에 손을 끼워준 후 등을 두드려준다.
(산소형제 구토, 배앓이 막는 트림법, https://youtube.com/shorts/PzEZVV5T1vI?si=YUT4ulYt_z4y-PlL)


나는 두 가지 방법 다 활용하고 있다. 참고로 두번째 방법으로 하는 경우에 시원한 트림 소리를 자주 들을 수 있다.

그냥 단순하게 등만 두드려서는 아기 트림이 잘 나오지 않고, 배를 한번 쭉 펴주는 자세가 좋기는 한 것 같다.

 

 

 

반응형